달라지는 2026년 최저임금!
최저임금 최저임금제도란 국가가 임금의 최저 수준...

"월 1000만 원 이상 가능", "숙소 제공, 좋은 회사"
SNS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해외취업 광고입니다. 하지만 최근 캄보디아 등지에서 발생한 사건들이 보여주듯, 이러한 광고의 이면에는 심각한 범죄가 숨어있습니다.
해외 취업사기 범죄의 심각성
정부가 특별신고·자수기간(2025.10.16~12.31)을 운영할 정도로 이 문제는 심각합니다.
1. 허위/과장 조건
인터넷 광고, 중개 업체, 심지어 지인 소개로 좋은 조건을 제시하며 현혹합니다.
2. 여권 강탈 및 감금
현지 도착 후 여권을 강탈하고 감금하여 강제 노동에 동원합니다.
3. 불법 조직 연루
불법 온라인 도박, 보이스피싱 등 조직범죄에 강제로 가담하게 만듭니다.
4. 인권 유린 및 생명 위협
거부하거나 탈출 시도 시 고문, 폭행, 심지어 장기매매 위협까지 받습니다.
해외 취업사기 예방 수칙
✓ 가까운 지인의 소개라도 신중하게 판단하고 가족이나 다양한 지인과 논의하기
✓ 지나치게 유리한 조건은 의심하기
✓ 신뢰할 수 있는 경로로 취업 정보 확인하기
✓ 본인 통장 타인 대여 및 양도는 불법
의심되거나 피해를 당했다면?
가까운 경찰관서 방문 또는 112 신고 🚨
정상적인 회사를 구별하는 방법
합법적인 회사는 명확한 근로조건과 계약서를 제시합니다. 특히 국내 사업장이라면 더욱 명확한 기준이 있습니다.
상시 10인 이상 사업장의 필수 요건
근로기준법에 따라 상시 10인 이상의 근로자를 고용한 사업장은 반드시 취업규칙을 작성하고 고용노동부에 신고해야 합니다.
👍🏻🔥 취업규칙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내용 (근로기준법 제93조)
1. 업무 시작·종료 시각, 휴게시간, 휴일, 휴가 및 교대근로
2. 임금의 결정·계산·지급 방법, 산정기간·지급시기 및 승급
3. 가족수당의 계산·지급 방법
4. 퇴직에 관한 사항
5. 퇴직급여, 상여 및 최저임금
6. 근로자의 식비, 작업 용품 등의 부담
7. 근로자를 위한 교육시설
8. 출산전후휴가·육아휴직 등 모성보호 및 일·가정 양립 지원
9. 안전과 보건
10. 성별·연령·신체적 조건 등에 따른 사업장 환경 개선
11. 업무상 및 업무 외 재해부조
12. 직장 내 괴롭힘의 예방 및 발생 시 조치
13. 표창과 제재
취업규칙이 없거나 근로자가 열람할 수 없다면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 대상입니다. 즉, 제대로 된 회사라면 취업규칙을 명확히 제시해야 합니다.
취업 전 반드시 확인하세요
📝 입사 전 체크리스트
사업주라면 취업규칙 정비하세요
상시 10인 이상을 고용하는 사업주라면 취업규칙 작성은 의무입니다. 2026년 최신 법령을 반영한 취업규칙으로 업데이트가 필요합니다.
🚨 취업규칙 미작성 또는 미신고 시
최대 500만 원 과태료 부과
🚨 취업규칙 미게시 또는 미비치 시
최대 500만 원 과태료 부과
비즈폼의 2026년 표준 취업규칙은 최신 노동관계법령을 반영하여 작성되었으며, 필수 기재사항을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 의심되는 해외취업은 신고하세요
- 특별신고·자수기간: 2025.10.16 ~ 12.31
- 신고방법: 가까운 경찰관서 방문 또는 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