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공채
일자리 분야 청년 정책은 청년들의 취업 기회 확대와 안정적인 고용환경 조성을 위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크게 취업 지원, 고용 유지, 경력 개발, 창업 지원까지 마련되어 있습니다.
국민취업지원제도
취업을 원하는 국민에게 취업에 도움이 되는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생계부담을 덜어줄 각종 수당까지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15~34세 청년이라면 취업상담, 이력서/면접 클리닉, 직업훈련, 일경험뿐만 아니라 유형에 따라 구직촉진수당, 참여수당 등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1유형 vs 2유형
구분 |
나이 |
소득 |
재산 | 지원내용 |
1유형 |
15~69세 |
가구, 본인소득 각각 중위소득 60% 이하 *15~34세 가구 중위소득 120% 이하
|
4억 원 이하 *15~34세 5억 원 이하 | 구직촉진수당 월 50만 원씩 x 6개월 |
2유형 |
15~69세 |
가구 중위소득 100% 이하 *15~34세 소득 무관
|
별도 요건 X | 취업활동비용 최대 200만 원 |
지역별 청년 면접수당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기 위해 교통비, 정장 대여비 등 면접을 위해 쓰이는 비용을 지원합니다.
면접확인서 등 간단한 증빙자료를 제출하면 각 지자체의 기준에 따라 최대 5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도전 지원사업
구직단념 청년의 경제활동 참여를 돕기 위해 5~25주 이상의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상담, 이력서 컨설팅과 함께 최대 350만 원의 지원금도 받을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이수 후에는 취업 여부에 따라 고용촉진 장려금, 미래내일일경험 등을 연계합니다.
청년인턴 제도
19~34세 청년이라면 정부부처, 공공기관에서 실무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청년인턴은 체험형과 채용형 인턴으로 나뉘며, 공공기관의 채용형 인턴은 정규직 전환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잡알리오(https://job.alio.go.kr/main.do), 나라일터(https://www.gojobs.go.kr/mainIndex.do)에서 다양한 기관에서 모집 중인 공고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 : 청년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