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장, 수영장 이용료 소득공제
올해 7월부터 헬스장, 수영장 소득공제건강한 일...
청년도약계좌?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 만기 5년(60개월) 동안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면 매월 최대 3.3만 원의 정부기여금을 지급하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합니다.
◼ 지원대상
1. 신규 가입일 기준 19~34세 이하(병역복무기간 최대 6년 차감)
2. (개인소득) 총 급여액 7,500만 원(종합소득 6,300만 원) 이하에 해당하는 자
3. (가구소득)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에 해당하는 자
4. (금융소득)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제외
◼ 지원내용
은행이자 + 비과세 혜택 + 정부기여금
*납입금액에 비례해 소득구간별 정부기여금 지원
◼ 신청
서민금융진흥원 https://ylaccount.kinfa.or.kr
2025년 이렇게 달라졌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지원이 확대되어 청년들의 적극적인 저축과 지속적인 자산 형성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월 최대 3.3만 원, 5년 간 최대 198만 원까지 확대되어 더 많은 정부기여금을 지급합니다. 납입한 만큼 기여금 전부를 지급하여, 연 최대 9.54%의 일반적금상품 가입 효과가 있습니다.
개인소득(연소득, 총급여) | (기존)월 최대 기여금 | (2025년)월 최대 기여금 |
2,400만 원 이하 | 24,000원 | 33,000원 (+9,000원) |
2,400만 원 초과 ~ 3,600만 원 이하 | 23,000원 | 29,000원 (+6,000원) |
3,600만 원 초과 ~ 4,800만 원 이하 | 22,000원 | 25,000원 (+3,000원) |
4,800만 원 초과 ~ 6,000만 원 이하 | 21,000원 | 21,000원 |
📌 신용점수
2025년부터는 청년도약계좌 성실납입 시(2년 이상, 누적 800만 원 이상) 개인신용평가점수 추가 가점(최소 5~10점 이상) 받을 수 있습니다. 금융이력 부족으로 신용도가 저평가 되고 있는 청년층의 신용 형성을 지원합니다.
📌 부분인출 가능
2025년에는 청년도약계좌 만기 전 납입액 일부인출이 가능한 부분인출 서비스가 신규로 도입됩니다. 긴급하게 돈이 필요할 때 계좌를 해지하지 않고 일부 금액을 인출할 수 있습니다. 부분 인출이 가능해지며 자산 형성이 지속적으로 가능해졌습니다.
청년도약계좌 2년 이상 가입자로 누적 납입액의 최대 40% 이내로 부분인출이 가능합니다.
*부분인출 금액에 대한 이자, 이자소득세 부과 및 정부기여금 지급 기준은 중도해지한 경우와 동일합니다.
📌 월 70만 원 납입
소득 구간에 상관없이 모든 소득 구간에서 월 7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습니다.
📌 3년 이상 유지 시 혜택 강화
만기 도래 전이라도 3년 이상 유지한 후 중도 해지하는 경우 비과세 유지 및 기여금 지급이 유지됩니다.
이는 연 최대 7.64%의 일반적금상품 가입 효과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