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국민에게 지급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민생회복 소비쿠폰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조치로 소...
다가오는 2022년 10월 9일은 제576돌 한글날인데요. 한글날은 세종대왕의 한글창제를 기념하고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국경일입니다.
훈민정음은 세종 28년인 1446년에 반포되었습니다. 한글은 민간에서 자연발생한 문자가 아니라 한 국가의 임금이 주도적으로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고안하여 만들어진 문자라는데에 그 의의가 있는데요. 때문에, 한글은 전세계적으로도 가장 우수한 문자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우리가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이용하면서 다른 문자보다 더욱 편하게 글을 칠 수 있는 것도 한글의 우수성 때문일텐데요. 한글날이되면 많이 기업이나 단체에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폰트를 공개하기도 합니다.
이번 매거진에서는 사업자나 직장인들의 업무상으로도, 학생들의 과제용으로도 사용하면 좋을 무료글꼴를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 안성탕면체
※ 사용범위
개인/기업
인쇄, 출판, 영상, 온라인 활용 등
글꼴 유료 재판매, 수정 및 재배포 금지
농심에서 한글날을 기념하여 출시한 무료글꼴입니다. 기업 브랜딩과 프로모션을 위해 제작되어 무료로 제공되는데요. 활용범위 제한도 많지않아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현재 이벤트 등을 함께 활용해 적극적으로 배포하고 있습니다.
http://www.nongshim.com/promotion/event/view/2022/09_ansung/ansung_event
■ 나눔글꼴
※ 사용범위
개인/기업
인쇄, 출판, 영상, 온라인 활용 등
글꼴 유료 재판매, 수정 및 재배포 금지
우리나라에서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무료글꼴이 아닐까 싶은데요. 2008년 개발되어 배포되어 그 기간 역시 매우 오래되었습니다. 역시나 글꼴을 유료재판매하거나 수정하여 재배포하는 행위만 아니면 사용에 제한이 없으며 글꼴안에 고딕, 명조, 스퀘어 등 총 34종의 글꼴이 있어 활용도 또한 우수합니다.
https://hangeul.naver.com/font/nanum
■ 배달의민족체
※ 사용범위
개인/기업
인쇄, 출판, 영상, 온라인 활용, 수정 및 변경 가능 등
글꼴 유료 재판매 금지
배달의민족에서 배포한 글꼴로 수정 활용도 가능하여 가장 라이선스가 자유로운 글꼴입니다. 글꼴도 점점 추가되어 10개 정도되는데요. 기업 이벤트 등에서 활용하면 더욱 좋을 글꼴로 꼽히기도 합니다.
https://www.woowahan.com/fonts
■ 티몬체
※ 사용범위
개인/기업
인쇄, 출판, 영상, 온라인 활용, 수정 및 변경 가능 등
글꼴 유료 재판매 금지
티몬체 역시 2007년 제작되어 오래된 기업글꼴 중 하나입니다. 사용범위 역시 넓게 보장되어 제약없이 사용가능한데요. 티몬소리체라는 이름에서 티몬체로 변경하여 단순화하였고 티몬티움체라는 다른 버전의 글꼴도 추가 배포하는 중입니다.
http://service.tmon.co.kr/font
■ 빙그레체
※ 사용범위
개인/기업
인쇄, 출판, 영상, 온라인 활용 등
글꼴 유료 재판매, 수정 및 재배포 금지, 기업 CI/BI 사용금지
어린아이의 순수한 미소가 떠오르는 서체를 컨셉으로 빙그레체, 빙그레체Ⅱ, 빙그레따옴체, 빙그레메로나체, 빙그레싸만코체 총 5종의 글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http://www.bingfont.co.kr/about.html
■ 가나초콜릿체
※ 사용범위
개인/기업
인쇄, 출판, 영상, 온라인 활용 등
글꼴 유료 재판매, 수정 및 재배포 금지
1975년 출시되어 오랜 시간 사랑받아온 가나초콜릿 상표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서체로 부드러운 초콜릿의 풍미를 살린 글꼴이라고 합니다.
https://www.lotteconf.co.kr/prcenter/gana
■ EBS서체
※ 사용범위
개인/기업
인쇄, 출판, 영상, 온라인 활용 등
글꼴 유료 재판매, 수정 및 재배포 금지, 음란물/반사회적 등 부정적 제작물 금지
2014년 568돌 한글날을 맞아 교육방송 EBS에서 배포하였으며 당시에는 EBS 훈민정음체로 배포되었습니다. 지금은 훈민정음 새론체와 주시경체까지 총 3가지 글꼴을 배포하고 있습니다.
https://about.ebs.co.kr/kor/organization/font?tabVal=hunmin
■ 서울체
※ 사용범위
개인/기업
인쇄, 출판, 영상, 온라인 활용 등
글꼴 유료 재판매, 수정 및 재배포 금지
기업말고도 지자체에서도 도시 이미지를 위해 글꼴을 배포하는데 그 선두에는 서울시가 있었는데요. 서울특별시에서 배포한 서체로 서울남산체와 서울한강체 두가지 글꼴이 있습니다.
https://www.seoul.go.kr/seoul/font.do?tr_code=short
■ 부산체
※ 사용범위
개인/기업
인쇄, 출판, 영상, 온라인 활용 등
글꼴 유료 재판매, 수정 및 재배포 금지
부산시에서도 고유의 글꼴을 배포하였는데요. 부산시는 한글의 우수성을 아름다운 해양수도 부산이라는 이미지와 결합하여 지속적인 서체 개발을 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https://www.busan.go.kr/bhbusan
■ 제주서체
※ 사용범위
개인/기업
인쇄, 출판, 영상, 온라인 활용 등
글꼴 유료 재판매, 수정 및 재배포 금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배포한 서체로 제주고딕, 제주명조, 제주한라산체 총 3가지 글꼴이 있습니다. 제주의 상징인 현무암의 질감이나 바람과 파도를 글꼴에서도 느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www.jeju.go.kr/jeju/symbol/font/infor.htm